콘텐츠 바로가기


면소개메뉴열기

  1. 자월면
  2. 면소개
  3. 유래

유래


자월면의 유래

군민의 옹진, 뿌리를 찾아서 내가 사는 곳을 사랑하는 또 하나의 방법

자월면 이미지

자월면은 조선시대 관가에 근무하던 어느 사람이 귀향살이를 하러 와서 첫날밤 억울함과 신세를 한탄하며 하늘을 쳐다보니, 마침 보름달이 유난히 밝은데 갑자기 달이 붉어지더니 바람이 일어나고 폭풍우가 몰아쳐 그는 하늘도 자기의 억울함을 알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곳을 ‘자월(紫月)’이라고 불렀다하며 자월면(紫月面)은 서기1392년경 고려말 공민왕 후손이 이태조의 탄압을 피해 자월도에 정착한후 조선시대에는 남양군에 속하다가 1913년 경기도 부천군에 편입되어 1966년 7월 영흥면 자월출장소로 승격되었으며 1973년 7월 행정구역개편으로 옹진군에 소속되어 1983년 2월15일 행정구역개편으로 덕적면 승봉리와 영흥면 자월리, 이작리를 합하여 ‘자월면’으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승봉리

  • 승봉도 일원을 승봉리라 부르며 아득한 옛나라에 신(辛)씨와 황(黃)씨가 함께 고기를 잡던중 풍랑을 만나 대피한 곳으로 며칠 동안 굶주린 시장기를 채우기 위하여 섬의 이곳저곳을 둘러보니 경관도 좋고 산세도 매우 좋아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라 판단하여 이곳에 정착하였는데 당시 신씨와 황씨 두 사람의 성(姓)을 따서 신황도(辛黃島)라 부르다가 이곳의 지형이 마치 봉황새의 머리모양과 같다하여 승봉도(昇鳳里)라 개칭하여 부르고 있다 한다.

    안(큰)마을 : 승봉도의 사람들이 처음에는 주당죽에서 거주하였으나 질병이 돌고 병으로 인해 사람이 많이 죽어 이곳으로 이주하였으며 많은 사람이 산다하여 안(큰)마을이라 부르고 있다 한다.

이작리

  • 이작도는 자월면에 속한 섬으로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로 나뉘어져 있다. 『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이즉도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이즉도는 독갑도 동쪽에 있으며, 주위가 35리이고, 목장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이즉도는 지금의 대이작도와 소이작도를 합쳐 부른 이름으로 추정된다. 고려 말부터 조선왕조 초기에까지 이작도 지역은 해적 떼들이 점거하고 있었다. 이때 면적이 큰 대이작도에는 큐모가 큰 해적 떼가 점거하고 있어 대이작이라 하였고 면적이 작은 소이작도에는 규모가 작은 해적 떼가 점거하고 있어 소이작이라 하였다. 소이작도는 대이작도 서쪽에서 방향을 길게 서쪽으로 두고 형성된 섬으로 대이작도의 절반가량으로 지형이나 산세가 모두 대이작을 닮아서 마치 흉내를 낸 것 같다. 대·소이작도는 예부터 왜해적(倭海賊)떼가 점거하고 있었으며 임진왜란이나 기타 국난이 있었을 때에 육지에서 피난을 와서 살던 섬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계남리 : 이 부락은 이작1리 남쪽에 있는 부락으로 마을 형태가 게 모양으로 생겼을 뿐만 아니라 이곳에 옛날부터 게가 많아 이 지역 주민은 게로 끼니를 이어 나갔으며 게는 귀신을 쫓는다하여 집집마다 게를 잡아 처마 밑에 매달이 놓았다하여 ‘게남리’라 부르다가 변음 되어 '계남리‘로 불리고 있다 한다.

    벌안 : 벌집 모양의 그물을 뗏목처럼 쳐 놓고 고기를 잡았다 하여 ‘벌안’이라 불리고 있다 한다.

자월리

자월도(紫月島)의 전부를 자월리라 부르며 조선시대 관가에 근무하던 사람이 귀양살이를 하러 와서 첫날밤 억울함과 신세를 한타하며 하늘을 쳐다보니 마침 보름달이라 유난히 밝은데 갑자기 달이 붉어지더니 바람이 일어나고 폭풍우가 몰아쳐 그는 하늘도 자기의 억울함을 알아주는가 싶어 그때 이곳의 이름을 자월도라 지었고 그는 귀양살이를 끝내고 돌아갈 때 큰 바위에 자월도라고 새기고 떠났는데 그 후부터 이 마을은 자월리라 불리고 있다 한다.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 유래 바로가기 QR코드
  •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유래 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 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 자월면
  • 담당팀 : 총무
  • 전화 : 032-899-3750
  • 최종수정 : 2023.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