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페스토(Manifesto)란?
-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같은 의미로 16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로 선거와 관련하여 출마자가 유권자에게 앞으로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공약’을 의미합니다.
출마자는 가치와 철학,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책임있게 약속·공개하여 실천하고, 유권자들은 공약 실천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약속을 잘 지키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는 운동입니다.
정치선진국의 매니페스토
한국의 매니페스토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제4회 지방선거에서 최초로 매니페스토 개념 도입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S, M, A, R, T 총 5가지의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
-
S
구체성Specific
-
M
측정가능성Measurable
-
A
달성가능성Achievable
-
R
타당성Relevant
-
T
기한명시Timed
이렇게 평가된 결과는 차기 선거에 반영을 통해 공약 이행에 대한 책임을 물음으로써 한국의 선거문화를 '정책중심'으로 바꾸어 나갈 것임